여성의 참여가 절대적인 자원봉사 활성화를 위해 자원봉사가 창출하는 경제효과를 국민총생산(GDP)에 포함시켜 재평가해야한다는 의견이 제기돼 주목된다.
자원봉사는 소득이 없는 비경제활동으로 GDP에 포함되지 않는 대표적인 활동이다. 그러나 비경제활동이 경제 및 사회발전에 미치는 공헌을 고려해 마땅히 경제적 평가가 이뤄져야하고 이를 토대로 국가정책이나 발전전략에 자원봉사부문이 포함돼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주장이다.
특히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는 수가 1백만명을 넘어서고 있고, 참여층의 70% 이상이 여성인 점을 감안한다면 무급노동인 가사노동과 함께 객관적인 근거에 의한 정당한 평가와 지원을 받아야 한다는 게 여성계와 학계의 의견이다.
김태홍(한국여성개발원 노동·통계연구)부장은 "가사노동과 자원봉사를 제외시킨 채 경제적 보상이 따르는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을 측정하다보니 남성에 비해 저조한 것은 당연한 것"이라며 "여성들이 주로 활동하는 비경제활동이 사회에 공헌하는 바를 간과해서는 안된다"고 지적했다.
김부장은 또 "사회발전에 크게 기여하는 자원봉사와 같은 비경제활동의 재생산을 위해 경제적 평가는 반드시 필요하다"며 자원봉사의 경제적 평가방법으로 △자원봉사에 필요한 사람을 고용한다는 전제하에 보수를 측정하는 방법 △봉사영역을 세분화한 후 소요된 시간을 측정해 시장임금을 적용시키는 방법 △자원봉사자가 취업할 경우 벌어들일 수 있는 잠재소득을 측정하는 방법 등을 제시했다.
그는 이같은 평가방법을 통해 산출된 자원활동의 경제적 가치를 국가정책에 반영시켜 예산 지원 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.
경제적 평가와 함께 제기되는 또 하나의 문제는 자원봉사자의 참여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동기부여를 어떻게 할 것인가이다. 즉 자원봉사에 대한 적절한 보상과 인정이 필요한데 경제적 보상이 따를 경우 자원봉사의 본래 취지에 어긋난다는 의견도 만만치 않아 조심스런 접근이 필요하다.
전문가들은 "자원봉사에 대한 보상과 인정은 자원봉사자들을 격려해 지속적인 활동을 유지할 수 있는 중요한 도구"라며 "봉사에 필요한 최소한의 비용에 대한 보상과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사회적 경력인정이 필요하다"고 제시했다.
이재인(서울대 사회학과 박사과정)씨는 "자원활동에 대한 가시적인 인정과 평가를 제도화하고, 활동성과를 노동시장에서 숙련직으로 호환시킬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"며 "자원활동분야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, 자원활동경력을 직업경력에 포함시키는 장치로 활용하고 단순한 자원봉사 시간도 사회봉사점수로 기록하는 제도가 마련돼야 한다"고 말했다.
<김경희 기자 kimkh@kngo.net>
* solsolsong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(2007-07-08 20:47)